fnctId=bbs,fnctNo=35 게시물 검색 검색하기 전체 제목 내용 저자 129건, 현재페이지: 1/13 게시글 리스트 도시의 동물들 저자 : 최태규 출간일: 2025년 4월 11일 동물과 인간의 새로운 관계 맺기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도시의 동물들』은 그 논의와 실천의 현장을 부지런히 오가며 비판적 목소리를 내온 곰보금자리프로젝트 대표 최태규의 첫 단독 저작이다. 이 책은 무작스러운 개발주의와 거대 자본의 횡포에 신음하는 한국의 도시에서 동물들이 맞닥뜨린 고난과 각 종이 그 나름의 방식으로 생존을 모색하는 역동적인 장면들을 생생하게 담았다. 나아가 그 장면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일기 시작한 동요, 돌봄과 폭력의 아슬아슬한 경계에서 이루어지는 새로운 실천들, 관계주의와 소비자 정체성에 갇힌 동물보호운동의 한계 등 최근 한국 사회에서 들끓는 동물 담론 사이를 날카롭게 가로지른다.저자는 동물권 같은 추상적인 개념을 사용하기보다는 각 종의 고유한 생물학적 특성과 그것이 한국의 도시라는 공간, 도시인의 생활양식과 상호 작용하며 빚어내는 생태적 결과를 폭넓게 들여다보는 데 초점을 둔다. 인간과 가까이 살면서 특별한 돌봄을 받게 된 개와 고양이, 쉽게 혐오와 박멸의 대상이 되는 쥐, 해충, 비둘기를 비롯해 도시의 침입자로 여겨지는 너구리, 멧돼지, 백로 등 야생동물까지 도시에 터를 잡고 사는 동물들의 삶과 죽음의 현장으로 독자를 이끈다. 아울러 동물의 귀여움 을 중심으로 형성된 소비와 돌봄 문화, 예뻐하는 동물과 먹는 동물에게 다르게 적용되는 윤리, 동물을 팔기 위해 돌보는 사람들에 대한 멸시 등 동물 산업에 얽힌 문제까지 두루 다루며 도시인의 동물 사랑이 품은 모순을 조심스럽게 드러낸다. 길고양이에게 밥을 주고, 푸바오에 열광하고, 고기를 덜 먹기로 한 사람들의 마음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동물을 위해 더 잘 쓸 수 있을까. 이 책은 다양한 논쟁의 지점을 열어젖히며 동물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대화에 더 많은 사람들이 동참해주기를 호소하고 있다.저자사육곰 산업을 끝내기 위해 사육곰을 구조하고 돌보는 곰보금자리프로젝트 활동가이자 수의사, 성공회대학교 동물권과 사회 연구 전공 초빙교수로 일한다. 『일상의 낱말들』(공저), 『관계와 경계』(공저), 『동물의 품 안에서』(공저) 등을 썼다.목차들어가며1부 인간과 부대끼며 사는 동물1장 길고양이 ① - 돌봄과 폭력은 배타적이지 않다2장 길고양이 ② - 고양이는 어떤 동물이어야 할까?3장 개 - 사람과 서로 사랑할 수 있는 동물4장 비둘기 - 비둘기는 하늘의 쥐5장 쥐 - 인간이 가장 미워하는 동물6장 해충 - 혐오만으로 맺는 관계7장 제비 - 폐허에서 다시 만난 제비2부 도시 속 야생동물의 의미1장 너구리 - 가까이 살지만 보이지 않는 야생동물2장 멧돼지 - 난동 전문 동물3장 고라니 - 끝내 살아남은 도심 속 사슴4장 백로 - 돌아오려는 백로와 다시 쫓아내려는 사람들5장 까막까치 - 길조가 유해야생동물이 되기까지6장 작은 새들 - 도시에 살아남은 다양성의 세계7장 야생동물구조센터 - 야생동물에 진 빚을 갚는 마음3부 돈이 되는 동물: 동물 산업1장 동물원, 야생동물을 가두어 기르는 곳2장 팬덤 속 푸바오3장 고기가 되는 동물들4장 개와 고양이를 바라보는 눈으로 넙치와 우럭을 바라볼 수 있을까5장 마트의 동물들6장 동물을 업으로 돌보는 사람들동물 이야기를 좋아하는 사람과 동물 바라보기를 좋아하는 사람 - 최태규와 이지양의 대화참고문헌출처교보문고 No. 129 작성자 입학홍보처 조회수 26 등록일 2025.04.18 0 셰익스피어 4대 비극 저자 : 진영종 출간일: 2025년 4월 15일 257개의 역주, 원고지 420매 분량의 해설, 각 막의 줄거리.모든 형식을 지키되 모두가 읽기 쉽게 번역한,셰익스피어 학자 진영종 교수의 대중을 위한 셰익스피어 !저자경남 함양 출생. 연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에식스대학교 대학원에서 셰익스피어 시대 연극 전공으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영어과 교수이자, 참여연대 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으며, 월간 김어준 에 고정 출연하면서 셰익스피어 극을 대중에게 하는 데도 공을 들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 셰익스피어 사기극 , 옮긴 책으로 지구시민사회 (공역), 세상의 모든 기도 (공역), 간디의 위대한 리더십 등이 있다.목차셰익스피어와의 대면 7햄릿 39작품 해설_위대한, 그러나 문제적인 작품 259오셀로 277작품 해설_지혜롭게 사랑하지 못한 베니스의 무어인 479리어왕 501작품 해설_죄보다 죗값을 더 많이 치른 인간 693맥베스 715작품 해설 867옮긴이 후기 891출처yes24 No. 128 작성자 입학홍보처 조회수 26 등록일 2025.04.16 0 대구의 5.18, 두레양서조합 사건 저자 : 김상숙 출간일: 2025년 3월 20일 전두환 정권 시절인 1980년 9월, 계엄 당국이 대구에서 유인물을 제작하고 배포해 제2의 광주 민주화운동을 일으키려 했다는 명목으로 시민, 농민, 학생 100여 명을 영장 없이 강제로 연행하여 조사한 사건이 있었다. 당국은 두레서점을 대구 경북 지역의 학생운동과 사회운동의 본거지로 규정하고, 북한의 남파 간첩과 연계된 반국가단체로 몰았다. 그리고 두레서점 구성원으로 활동하던 가톨릭농민회 실무자와 회원들, 두레양서협동조합과 연결된 대구의 여러 대학 농촌(문제)연구회 선후배들과 지역 사회운동가들에게 국가 전복을 꾀했다는 혐의를 뒤집어씌웠다.이 책은 이러한 두레사건 의 전사(前史)부터 사건의 전개, 그리고 이후 당사자들의 삶과 명예회복 과정까지 두레사건의 전모를 밝힌다. 제1장은 두레양서조합이 만들어지기 전 영남지구 대학4-H연구회연합회 등 대학 농촌서클 운동의 역사를, 제2장은 두레양서조합 운동의 역사를 다룬다. 제3장은 1980년에 일어난 두레의 5 18 투쟁의 전말을, 제4장은 이에 대한 국가 폭력을 소상히 밝힌다. 제5장은 두레사건이 일어난 후 당사자들의 생애사와 피해 실태를, 제6장은 사건 진상규명과 사건 당사자들의 명예회복 과정을 다룬다.저자성공회대학교 연구교수. 전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조사관.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사사회학자로서 한국 사회의 사회운동과 과거청산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구술사 방법을 활용해 한국 현대사에서 사라지거나 숨겨진 이야기를 복원하는 한편, 국가폭력 피해자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사회적 치유의 영역으로 확장하는 데 주력해왔다. 2016년 제10회 임종국상(학술 문화부문)을 수상했다.지은 책으로 《10월 항쟁: 1946년 10월 대구, 봉인된 시간 속으로》, 《한국 현대사와 국가폭력》(공저), 《민주노조, 노학연대 그리고 변혁: 1980년대 노동운동의 역사》(공저), 《대구경북 민주화운동사》(공저) 등이 있다.목차책을 펴내며들어가며사건 당사자와 구술자 제1장 두레양서조합의 전사(前史): 농촌운동에서 농민운동으로1. 금요강좌와 대학4-H운동의 변화2. 지역 농민운동과의 결합제2장 두레양서조합 운동의 전개: 농민운동에서 민주화운동으로1. 두레양서조합의 활동2. 두레양서조합과 학생운동, 농민운동과의 관계제3장 1980년 5월 두레양서조합 사건1. 1980년 민주화의 봄과 두레양서조합2. 두레양서조합 구성원들의 5 18 투쟁3. 1980년 여름의 상황제4장 두레양서조합 사건에 대한 국가 폭력1. 연행, 압수수색2. 합동수사본부의 고문 취조3. 천주교의 구명활동과 이후의 사건 경과제5장 두레사건 후의 국가 폭력과 관련자들의 생애곽길영 | 권영조 | 김병일 | 김영석 | 김진덕 | 서원배 | 신중섭 | 이동렬 | 이상국 | 이석태 | 정동진 | 정상용 | 정재돈 | 황병윤 | 요약제6장 두레사건 진상규명과 과거청산 노력1. 5 18민주유공자 선정 과정2. 재심 재판과 정신적 손해배상 청구 소송나가며: 두레사건의 의의와 두레공동체의 오늘부록 1 두레 정관부록 2 두레 도서목록주참고문헌출처교보문고 No. 127 작성자 입학홍보처 조회수 34 등록일 2025.04.10 0 평화로 가는 길 저자 :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베를린자유대 한국학연구소, 한국냉전학회 공동기획 출간일: 2024년 6월 30일 한국, 중국, 일본, 대만의 비판적 지식인과 학자들이 오늘날의 세계 전쟁 국면을 진단하고 문제의식을 나누며 평화적 해결의 경로를 탐색한다. 한반도는 70년 동안 지속된 정전과 대치 상황에서 평화체제로의 전환이 절실하지만, 오늘날 또다시 전쟁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대만해협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위기나 우크라이나 및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등 세계 곳곳의 전쟁으로 평화를 향한 세계 민중의 열망이 더욱 강렬해진 현실이 기획의 배경이 되었다.국제관계, 역사, 정치, 과학기술, 문화 등 각 분야의 연구자들은 각자의 글에서 동아시아를 비롯한 전 세계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현실에서 문제를 파악하고 보편성을 확인하며, 객관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동시에 공통의 해결 경로를 찾아나가고 있다. 지은이들은 세계를 전쟁 국면으로 몰아넣어온 역사적 자본주의와 오늘의 신자유주의에 이르기까지 식민과 냉전, 전지구화 아래 아시아와 세계의 민중이 엄청난 참극을 겪어왔지만, 평화와 평등으로 나아가는 길이 끊임없이 모색되었다는 점에서 희망을 찾는다. 지구적 패권질서의 다극적 재편부터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반전평화운동은 새로운 주체들을 통한 변화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분쟁의 원인과 그 해결 방안, 전환의 의지와 실천을 살펴보면서, 긴박한 세계정세의 변화 가운데 냉전, 분단체제를 극복하고 평화체제로 나아가기 위한 저항과 연대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책을 엮은 백원담 성공회대 석좌교수는 머리말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아직도 우크라이나와 팔레스타인에서 참혹한 전쟁은 계속되고 있고,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에 드리운 전운은 갈수록 어둡고 무거운 너럭바위로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온몸을 짓누르는 암담한 현실이다. 그래도 이 지구 천하의 사람들은 모두 남이 아니고(天下無人) 그 서로를 보듬는 돌봄의 심경이 있다면 평화로 가는 길은 어디로든 열릴 것이므로, 한반 한발 지나온 궤적을 더듬고 나아갈 길을 찾는 도저한 동행同行은 멈출 수가 없는 것이다."저자이남주 성공회대 교수성공회대학교 인문융합자율학부 교수. 현대 중국의 정치사상과 중국의 부상에 따른 국제 관계 변화를 연구하고 있다. 동시에 분단 체제의 관점에서 한반도와 지역 질서의 변화와 관련한 글도 발표했다. 계간 『창작과 비평』 주간도 맡고 있다. 저서로 『중국 시민사회의 형성과 특징』, 『이중과제론』(공저), 『중국 국가전략의 변화와 한중 관계에 대한 함의』(공저)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북한 개혁의 이륙 은 가능한가」, 「동북아시대 남북경협의 성격과 발전방향」 등이 있다.백원담 성공회대 교수성공회대학교 인문자율융합학부 국제문화연구학과 교수, 동아시아연구소장, 중국 상해대학문화연구학계 해외교수, 『황해문화』 『人間思想』 편집위원. 컬럼비아대학 청화대학 방문학자. 한국냉전학회 한국문화연구학회 회장 역임, 현재 한국 인문한국협의회 회장. 논저로는 『1919와 1949-21세기 한중 역사 다시 쓰기 와 다른 세계 』(2021), 『열전 속 냉전, 냉전 속 열전』(2017), 『신중국과 한국전쟁』(2013), 『냉전아시아의 문화풍경 Ⅰ Ⅱ』(2008 2009), 『동아시아 문화선택 한류』(2005), 「공정성 담론과 지구적 공거(共居)의 윤리」(2020), 「5.4 100년의 등하만필(燈下漫筆)」(2019), 「아시아가 만드는 세계-38미터의 관계학에서 신시대 평화연대로」(2018), The 60th anniversary of the Bandung Conference and Asia (2016), 『1919와 1949-21세기 한중 역사 다시 쓰기 와 다른 세계 』(2021) 등이 있다.외 12명목차머리말 평화로 가는 법 혹은 길에 대하여_백원담여는 글 글로벌 평화의 문화적 조건: 중국대륙을 사례로_왕샤오밍1부 포스트 지구화 시대, 전쟁이라는 파국과 출로유럽 평화 구축 경험과 아시아: 평화를 위한 기억과 소회_이은정우크라이나 전쟁과 러시아의 길: 러시아의 전쟁 목적과 종전 가능성_노경덕[논평] 평화를 원하면 민주주의가 아니라 평화를 실천해야 한다_이동기[논평] 푸틴은 왜 모험을 선택했는가_류한수2부 정전체제에서 평화체제로, 한반도 평화는 가능한가한반도 위기의 성격과 출구_이남주과학기술과 교육을 매개로 한 새로운 남북관계를 위한 시론_강호제한반도 평화 불/가능성과 멸망의 정동_김성경[논평] 절박한 시대, 연대의 실마리를 찾자_홍석률3부 평화의 세기를 위한 단절과 전환의 기획해협을 넘어 평화로 가는 길: 중국, 대만의 사이_천신싱평화에 반한 죄_이케가미 요시히코 단절 과 다른 평화_백원담[논평] 평화 아시아 로 가는 관건_박철현[논평] 평화를 지향하는 새로운 정치 주체의 탄생_김도민저자 출처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yes24 No. 126 작성자 입학홍보처 조회수 210 등록일 2024.09.13 0 불복종의 정치학 저자 : 박은홍 출간일: 2024년 02월 28일 미얀마와 타이의 불복종 정치의 중심에는 저항의 상징으로 세 손가락 경례를 하는 청년들이 있다. 이들이 전개하고 있는 세 손가락 혁명은 국민의 권리를 체계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침해하는 국가 폭정에 대해 국민들은 필요하다면 폭력을 통해서라도 저항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저자: 박은홍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학부 교수)민주주의, 공화주의, 세계시민에 관심을 갖고 있는 정치학자이자 동남아시아 지역 연구자로, 현재 성공회대학교 정치외교학 전공 및 동대학 대학원 아시아비정부기구학(MAINS)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대학 교육대학원 원장과 아시아NGO정보센터 소장을 겸하고 있다. 타이 국립 탐마삿대학교 정치학부에서 수학한 바 있고, 타이 왕립 쭐라롱껀대학교 정치경제연구소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동아시아의 전환: 발전국가를 넘어」를 비롯해 여러 저서를 집필했고, 논문으로는 「포퓰리즘의 아시아적 변형: 탁시노크라시에 대한 라틴아메리카 모델의 적용」, 「탈식민체제로서의 우리식 사회주의의 식민성: 수카르노와 네윈 시기의 혁명노선을 중심으로」 외에 다수가 있다.목차1부__미얀마, 봄의 혁명 에 이르는 길1장__미얀마 2021: 예견된 쿠데타와 예견하지 못한 내전2장__ 봄의 혁명 : 땃마도 수호자주의의 파국적 선택3장__미얀마 2018: 로힝야와 아웅산 수지 정부의 위기4장__미얀마의 질서 있는 이행 모델2부__타이, 군부-왕실동맹 깨기의 역사5장__ 사릿 모델 의 부활과 타이식 민주주의6장__포스트-탁신 시대의 붉은셔츠7장__근대적 절대군주제와 국왕모독죄8장__지역 연구를 위한 민주화 분석모형: 타이의 1973년 10월과 1992년 5월의 비교출처교보문고 No. 125 작성자 입학홍보처 조회수 316 등록일 2024.03.15 0 문재인 정부와 한일관계 저자 : 양기호 출간일: 2024년 3월 5일 갈등을 딛고 미래지향적 협력을 추구한 5년의 기록 이 책은 문재인 정부 5년간 한일관계의 담론과 현장에서 고민한 저자의 기록이다.문재인 정부 출범 초기 대일정책은 투트랙 접근이었다. 역사와 영토 갈등 요인이 있지만, 일본 아베 정권과 사회 문화와 경제 통상 등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추구한다는 것이었다. 실제로 문재인 정부 임기 중 2018년 한일 교류는 단군 이래 최고조에 달했다. 한일 간 인적 교류가 무려 1,050만 명에 달했고, 물적 교류도 850억 달러에 이르렀다.한일관계를 개선하려는 문재인 정부의 노력은 일관되고 지속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은 소극적인 대응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으며, 2015년 8월 패전 70주년 담화에서는 후세대에 사죄할 부담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공언하기도 하였다. 한일관계는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이다. 강제징용 현금화 가능성, 후쿠시마 오염수에 의한 환경 파괴,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시도는 물론, 일본군 위안부 와 야스쿠니 신사참배, 독도 영유권 논쟁과 교과서 왜곡사태 등, 한일 간 쟁점의 불씨가 여전히 남아있고, 한국 국민의 불만은 누적된 상태이다. 일본 정부와 국민도 윤석열 정부 대일정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한국의 불만과 일본의 불안이 상호 교차하는 이유는, 바로 동북아 협력과 번영, 한일 화해와 남북통일에 기여하는 한일관계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저자: 양기호 (성공회대학교 인문융합콘텐츠학부 교수)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본 대학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게이오대학(慶應大學)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재인 정부기 한일관계의 이론과 현실에 참여했다.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외교부 위안부TF 민간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인문융합자율학부 일어일본학전공 교수로 있다.외교부 공관장으로서 주고베대한민국 총영사로 공직자 역할을 수행하였고, 미국 듀크대학 아태연구소 방문교수, 일본 릿쿄대학과 메이지대학, 도호쿠대학의 방문연구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현재도 국내외 매스컴에 한일관계, 일본정치 해설자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양기호 기미야 다다시 『한일 대화: 정치편』(공편), 양기호 『한일관계 50년의 성찰』(공저), 문정인 양기호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과 한일관계』(공편) 외, 다수 저서와 논문이 있다.목차제1장 문재인 정부와 한일관계의 출발1. 동북아 지정학(geopolitics)의 도래와 한일관계의 변용2. 문재인 정부와 아베 정권3. 북한 핵 미사일 위기와 한일협력4. 전환점에 선 한일관계제2장 한일 갈등의 기원으로서 대북정책1. 대북정책과 한일관계2. 한일 협력과 갈등의 이중주3. 한일 갈등의 원점과 외교 비전4. 한반도 비핵화를 둘러싼 한일 갈등5. 요약과 시사점제3장 국제 쟁점으로 위안부 문제의 확산1. 위안부 쟁점의 국제화2. 위안부 문제의 중층적 구조3. 한일 쟁점에서 국제 쟁점으로4. 국제적, 사법적 해법과 한계5. 맺음말제4장 한일 위안부합의를 둘러싼 상호인식의 격차1. 한일 위안부합의에 대한 재조명2. 인식, 해법, 판결3. 한일 위안부합의에 대한 인식차4. 위안부 문제 해결의 기준5. 사법부 판결과 상이한 대응6. 요약과 결론제5장 강제징용 쟁점과 한일관계의 구조 변용1. 문제의 제기: 국내 변수와 한일관계2. 언설과 갈등- 대법원 판결3. 제도와 협상- 정부의 한계4. 원칙과 충돌- 대결과 위기5. 결론과 전망제6장 윤석열 정부 대일정책의 한계와 실패1. 불안정한 한일관계의 현상과 쟁점들2. 특히 강제징용 해법과 후쿠시마 오염수3. 한미일 관계의 작용과 반작용4. 여전한 과제들, 그리고 한일관계의 방향문재인 정부기 한일관계 주요 일지출처주류성 출판사 No. 124 작성자 입학홍보처 조회수 328 등록일 2024.03.11 0 베이비부머가 노년이 되었습니다 저자 : 김찬호 출간일: 2024년 02월 15일 격랑의 현대사를 주도해온 베이비부머 세대는노년의 라이프 스타일에서도 또 다른 문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자기 해방의 스토리텔링부터 성장 마인드셋까지품위 있는 나이 듦을 위한 전환의 기술 사회학자 김찬호가 삶의 전환점(60세!)을 지나면서 펴낸 첫 노년 에세이. 인간의 생애 경로와 나이 듦에 대한 수많은 강연과 글쓰기를 해온 저자가, 그간의 앎과 베이비부머 세대 당사자로서의 삶을 농축해 마흔 개의 단어로 풀어냈다. 스토리텔링, 눈물, 망상, 응시, 줏대, 경청, 탐구, 복지, 유산, 후회 . 품위 있게 나이 들고 싶다면 꼭 알아야 할, 우리의 인생 후반전을 지켜주는 열쇳말들이다.베이비부머는 누구인가. 이들은 전쟁의 여운이 채 가시지 않았던 즈음에 태어나 보릿고개의 끝자락을 맛보면서 비약적인 경제성장의 시기에 유년기와 청년기를 통과했다. 기성세대의 권위를 부정하면서 자기들만의 정체성을 1970년대 청바지와 통기타의 대중문화로 구현했으며, 1980년대에는 젊은이의 저항의식과 패기로 민주화를 이뤄냈고 정치적 실세가 되었다. 독재정권의 탄압을 받았지만 번영의 결실을 가장 많이 누렸고, 그 절정기에 IMF 금융위기로 큰 위기를 맞았지만 일부는 정보화와 벤처 열풍의 주역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그런데 이들은 지금 어떤 삶의 자리에 놓여 있는가. 다가오는 미래는 무엇인가. 많은 이들이 현역에서 물러나 노년층으로 편입되어가는 단계에서 불안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사상 초유의 스피드로 진행되는 고령화 속에서 수명은 자꾸만 길어지는데, 그 여생(?) 에 대한 밑그림은 좀처럼 그려지지 않는다. 참고할 만한 모델도 마땅치 않다. 윗세대와 차별화된 문화를 누리며 청년기를 보냈듯이 노년기에 들어서면서도 전인미답의 길찾기를 해나가야 할 처지다. 현대사의 큰 변화를 주도해온 베이비부머는 과연 노년의 라이프 스타일에서도 또 다른 문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저자: 김찬호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대우교수)사회학을 전공했고, 일본의 마을 만들기를 현장 연구하여 박사논문을 썼다. 대학에서 문화인류학과 교육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 부센터장을 지낸 바 있고, 현재 교육센터 마음의씨앗 부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지은 책으로 「모멸감」, 「눌변」, 「생애의 발견」, 「사회를 보는 논리」, 「도시는 미디어다」, 「문화의 발견」, 「휴대폰이 말하다」, 「교육의 상상력」, 「돈의 인문학」, 「인류학자가 자동차를 만든다고?」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작은 인간」,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모든 것의 가장자리에서」(공역), 「학교와 계급 재생산」(공역) 등이 있다.목차생애의 경로, 마음의 미로파국 인간의 바닥이 드러날 때하산 바로 지금 여기가 봉우리정정함 은은한 정기로 세워진 기품전환 변곡점을 통과하는 기술눈물 상처에게 말 걸기스토리텔링 자기 해방의 서사연민 고통을 감싸 안는 너그러움자기를 돌보며, 서로를 보살피며응시 나는 당신을 봅니다공동체 재난을 다스리는 터전경로 늙음을 경외한다는 것혐로 노년의 위엄을 세우려면복지 영혼의 궁극적 회복손님 감사와 환대의 마음자리자존 타인을 존중하는 원천완고함이 아니라 견고함으로망상 힘에 대한 강박과 집착고백 과시와 허세를 내려놓는 자리지피지기 위태로워지지 않도록멈춤 파멸에 이르기 전에줏대 껍데기를 벗으려면이순 귀를 밝고 부드럽게경청 마음의 속도를 늦추고지성이 깃드는 삶교학상장 후배에게 배운다쓴소리 도전받는 즐거움탐구 인생 문해력을 위하여책 서재를 떠나보내며유산 무엇을 물려주고 싶은가독서 건강 수명을 좌우하는 습관도서관 새로운 학연이 맺어지는 공간으로생존에서 생성으로육아 손주는 누구인가성숙 어른 자아를 찾아서보람 살아 있음의 증거선배 후대를 보살피며 나를 돌보기시간 망년 왕년 송년후회 짧고, 정확하게상실 말년의 은총으로 빛나도록죽음, 삶을 깨닫는 화두유병장수 이제는 죽음을 공부해야 할 때연명 병원에만 맡겨두어도 괜찮은가존엄 고독사와 무연사에 대하여마을 품위 있는 웰다잉의 사회적 토대우선순위 오늘 죽음을 살아가기출처yes24 No. 123 작성자 입학홍보처 조회수 314 등록일 2024.02.14 0 영상 제작 Teaching Point: 교육 지도서 저자 : 연희승 출간일: 2024년 1월 10일 교사(촬영, 편집은) 튜토리얼 보면서 가르치겠는데, 다른 건 또 뭘 알려줘야 할지 모르겠어요.학생들이 편집까지 할 줄 아는데도 결과물이 나아지지 않아요.제가 전문가가 아니니까. 저도 따로 공부하긴 하는데, 피드백 줄 때도 사실 맞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학부모아이가 동영상 제작에 소질이 있는 건지 모르겠어요.같이 만들고 싶은데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요.(문제집처럼) 해답지라도 있으면 보면서 가르치겠는데 위 이야기는 교사(초, 중, 고)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수업에서 들은 내용이다. 내용을 요약하면 제작 교육 방법을 모르겠다는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지금까지 해 온 교육에서 더 발전하는 방법을 몰라 맴돌고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나는 자신의 실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강의했었는데, 교사와 학부모는 또 다른 수강생 유형으로 자신을 위해서가 아닌 타인(학생, 자녀)을 도우려는 새로운 수업 대상이었다. 나로서는 도움을 주고 싶어 하는 이들을 먼저 도와야 하는 입장에 있는 것이었다. 목적이 다른 대상에게 그동안 내가 해 온 강의 형태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어 새로운 접근 방법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저자: 연희승(성공회대학교 미디어콘텐츠융합자율학부 겸임교수) 성공회대학교 미디어콘텐츠융합자율학부 겸임교수이자 광고대행사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Creative Director)이다.대학 강의 13년 차로, 1인 미디어, 단편영화, 뮤직비디오, 광고 등 영상 제작 수업을 해왔고, 기업, 교원, 전문 프리랜서를 대상으로도 영상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경기도 광고홍보제 심사위원장 등 다수 영상제와 영화제 심사위원을 역임했다.시작은 미국 할리우드 방송국 E! Entertainment의 연출부였고, 이후엔 독립영화감독으로 활동하며 Academy of Art University에서 영화연출을 공부했다(예술학석사 M.F.A). 한국으로 돌아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에서 영상예술 전공으로 박사수료 했고, 강의와 광고 제작을 하고 있다.저서로는 자막 만들기 100가지 (2023), 네이버 책 베스트셀러 숏폼 기획 아이디어 (2022)와 크리에이터 1:1 속성 과외 (2021), 그리고 쉽게, 싸게, 재미있게 만드는 마케팅 동영상 (2020)이 있다.목차PART 01티칭 포인트의 핵심! 선행 경험 Chapter 01선행 경험이 필요한 이유1. 학생들의 과거 경험의 차이 42. 제작 교육은 경험의 재구성 5 Chapter 02선행 경험과 관련된 주요 개념1. 철학자 존 듀이 의 교육관 82. 일차적 경험, 이차적 경험, 하나의 경험 113. 선행 경험과 현재 경험의 관계 124. 경험의 연속성 13 Chapter 03제작에서 교사의 역할1. 시청자 이자 제작자 172. 간접 흥미 유발자 193. 선행 경험 제공자 20 PART 02실전! 선행 경험 Chapter 01제작 3단계 미리 경험하기_feat. 패러디 광고1. 예술작품 패러디 27 (1) 작품과 메시지의 연관성 체크 | 렉서스(LEXUS) 자동차 27 (2) 물 흐르듯 이어지는 이미지와 사운드 | 팜 힐스 디벨롭먼트(Palm Hills Developments) 이집트 부동산 개발 회사 31 (3) 카메라 앵글과 색감을 원작 그대로 | 심리스(seamless) 배달 서비스 37 (4) 원작 사운드가 독특할 경우, 패러디물에서도 똑같이 | 몬스터(MONSTER) 구인 구직 사이트 412. 인물(캐릭터) 패러디 45 (1) 인물의 외모, 표정, 행동을 흡사하게 | 돼지바 아이스크림 45 (2) 인물을 어필해주는 장소 선택 | 캐딜락(Cadillac) 자동차 483. 광고 패러디 52 (1) 내레이션도 원작과 같은 톤으로 | 왕뚜껑 라면 (2013) 52 (2) 원작의 카피 문구와 유사하게 적는 센스 | 왕뚜껑 라면 (2004) 57 (3) 세트 구성, 소품만 봐도 원작이 연상되게 | 지크(ZIC) 엔진오일 624. 노래 패러디 67 (1) 노래 가사가 곧 카피 문구 | 구몬학습 67 Chapter 02단계별 제작 방법 자세히 배우기_feat. 월드 광고1. 첫 번째 단계 Pre-production: 캐릭터, 스토리 72 (1) 초고수가 선택한 상징적 비주얼 | 아우디(Audi) 자동차 72 (2) 언어 없이 메시지 전달이 가능할까? | 베이에른 3(BAYERN 3) 독일 라디오 방송국 75 (3) 시청자도 한마음으로 응원하도록 | 리우 올림픽 미국 국가대표 후원 광고 78 (4) 웃기지 않고 웃기기(넌지시 던지는 유머) | 어반 래더(Urban Ladder) 가구 회사 81 (5) 클리셰를 역으로 사용하면? | 런던 필름 아카데미(London Film Academy)(영화 학교) 84 (6) 시청자를 끌어들여라 | 스카치 브라이트(Scotch-Brite) 수세미 89 (7) 마음을 움직이는 캐릭터 | 안드렉스(Andrex) 화장지 93 (8) 귀엽고 소소한 반전 | 불랑제(Boulanger) 전자제품 유통회사 97 (9) 상상 속 즐거움을 현실로? | 도미노 피자 101 (10) 개념 하나를 여러 이미지로 풀어내기 | 라이솔(Lysol) 세척 및 소독 제품 브랜드 104 (11) 인간관계에서부터 스토리는 시작한다 | 맥도날드 패스트푸드 10 (12) 단점을 드러내면 오히려 장점이 커 보인다 | 스마트(Smart) 자동차 1102. 두 번째 단계 Production: 촬영, 색감, 조명, 장소, 소품, 의상 114 (1) 숨죽이게 만드는 원 테이크 | 영국 왕립 해병대(Royal Marine) 114 (2) 동영상에서 깔 맞춤이란? | 루팍(LURPAK) 버터 117 (3) 동시 촬영, 단 한 번의 기회 | 볼보(VOLVO) 트럭 122 (4) 인테리어와 의상으로 느끼는 시대 배경 | 필립스(PHILIPS) 색상 조명 127 (5) 배경이 메시지 그 자체 | 보스(BOSE) 헤드폰 131 (6) 메시지에 초집중한 소재와 색감 | 히스케(Risqu ) 매니큐어 134 (7) 카메라 렌즈를 사람 눈처럼 | Macular Society 황반 시각 질환 자선 단체 137 (8) 매칭을 통한 화면 전환의 강한 효과 | 운전 중 문자 사용 금지 광고(라트비아 공화국) 141 (9) 메시지 전달에 최적의 장소를 찾다 | 실릿 뱅(Cillit Bang) 다목적 세제 144 (10) 단숨에 시간 압축 | 프레스쿨리스(Freskoulis) 신선 식품(그리스) 147 (11) 특이한 로케이션 활용은 이렇게 | 나이키 운동화 150 (12) 캐릭터 특징을 살리는 쉬운 방법? 의상! | 스포티파이(Spotify) 음악 스트리밍 1543. 세 번째 단계 Post-production: 편집, 사운드 157 (1) 카메라의 움직임을 살려주는 편집 | 인텔(intel) 반도체 157 (2) 이미지와 사운드의 미스 매칭 | 베콜(BEKOL) 청력 환자 기구(이스라엘) 161 (3) 감쪽같이 자연스럽게 화면 이어주기 | 존 루이스(John Lewis) 백화점 164 (4) 사운드 레이어 차곡차곡 쌓기 | 사리오이넨(Saarioinen) 식품 169 (5) 새삼스러운 사실, 동영상은 이미지의 합 | 게티 이미지(getty images) 스탁 이미지 사이트 172 (6) 효과음으로 말해요 | 스트룬스(Stryhns) 식품(덴마크) 175 (7) 사운드에 따라 동영상 성격이 왔다 갔다 | 미쓰비시(MITSUBISHI) 자동차 178 (8) 여러 상황이 연결되는 화면 분할 | 해양 관리 협의회(Marine Stewardship Council, MSC) 181 (9) 숨은 화면의 감춰진 메시지 | 거리의 아이들 협회(Children of the Street Society) (캐나다) 185 (10) 악기 없어도 연주할 수 있어요 | 에데카(EDEKA) 슈퍼마켓 188 (11) 중요한 순간은 길고 자세하게 | 반 휴센(Van Heusen) 셔츠 191 (12) 여러 이미지와 사운드를 한 화면에 | 러셀 홉스(Russell Hobbs) 생활가전 196 Chapter 03첫 번째 단계 Pre-production은 중요하니까 한 번 더! : 캐릭터와 스토리_feat. 영화, 소설 등1. 캐릭터의 프리퀄, 외전, 시퀄 만들기 201 (1) 프리퀄: 캐릭터의 과거 이야기 201 (2) 외전: 현재 시점의 또 다른 이야기 205 (3) 시퀄: 캐릭터의 미래 이야기 2082. 캐릭터 바꾸기 212 (1) 원작 고르기 212 (2) 주요 캐릭터 분석하기 214 (3) 바꿀 캐릭터 정하기 216 (4) 새 캐릭터 만들기 218 (5) 새 캐릭터 구체화하기 223 (6) 기존 캐릭터 빼고, 새 캐릭터 넣기 226출처박영사 No. 122 작성자 입학홍보처 조회수 315 등록일 2023.12.13 0 일제에 맞선 페미니스트 저자 : 이임하 (성공회대학교 HK교수) 출간일: 2023년 10월 16일 아무도 기억하지 않지만봄날 햇살처럼 일제에 맞선 페미니스트들이 책은 일제의 억압과 멸시에 맞서 해방을 꿈꾼 우봉운, 김명시, 조원숙, 강정희, 이경희, 이계순, 이경순 등 일곱 명의 페미니스트에 대한 기록을 담았다. 한국 근현대사에서 여성을 주제로 여성들의 삶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온 역사학자 이임하는 일제 강점기 페미니스트들의 삶과 남긴 글을 통해 어떻게 일제에 맞서 저항했고, 여성들의 삶을 바꾸려고 했는지 생생하게 알려준다.이 책에 담긴 여성들은 지금까지 역사에서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이들이다. 김명시 정도가 한 시민단체의 끈질긴 노력으로 2022년에 독립운동 업적을 겨우 인정받았고, 우봉운은 불교여자청년회 관련한 연구의 일부로 알려졌을 뿐이다. 저자는 해방공간에 한 편의 글이라도 남아 있는 이들을 중심으로 연구를 시작했다. 잡지나 신문에 실린 이들의 글을 한 편 두 편 확인하는 작업을 했다. 이 글들을 통해 이들의 일제 강점기 활동을 추적해갔다. 해방공간에서 시작해 일제 강점기까지 거슬러 올라간 연구를 통해 이들의 봄날 햇살처럼 따스하고 찬란한 아름다운 실천을 복원해서 책에 담을 수 있었다.저자: 이임하 (성공회대학교 HK연구교수)현재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다. 한국 전쟁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으며 언제나 여성들의 이야기와 역사를 고민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미래는 우리의 것이다』, 『전염병 전쟁』, 『조선의 페미니스트』, 『이임하의 여성사 특강』, 『10대와 통하는 선거로 읽는 한국 현대사』, 『10대와 통하는 문화로 읽는 한국 현대사』, 『10대와 통하는 한국 전쟁 이야기』, 『해방공간, 일상을 바꾼 여성들의 역사』, 『적을 삐라로 묻어라』,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계집은 어떻게 여성이 되었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한국 여성사 편지』가 있으며, 『동아시아와 근대, 여성의 발견』,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1970년대 민중운동 연구』, 『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 『20세기 여성, 전통과 근대의 교차로에 서다』, 『죽엄으로써 나라를 지키자』,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동아시아의 전쟁과 사회』, 『전장과 사람들』, 『전쟁 속의 또 다른 전쟁』 등의 집필에 참여했다.목차머리말: 아무도 기억하지 않지만 봄날 햇살처럼 아름다운 역사1. 우봉운(禹鳳雲, 1893~?) : 억압과 멸시와 굴종에서 단연히 튀어 나오라! 죽기를 기하고 통일 독립 위해 나가겠다 나의 청춘, 명동학교 블라디보스토크 삼일여학교와 철혈광복단 최초, 불교여자청년회의 조직 활발한 사회운동과 돌봄 운동 실천적 진출과 맹렬한 이론을 세워 대항하라 근우회, 여성 개인의 의식적 동원 1931년 근우회 해소, 여성운동 침체기 아닌 새 기축의 시작점 가난에도 굴하지 않고 독신 여성 아파트 기개와 뜨거운 동지애 수백 통의 연애편지 그리고 결혼 남편의 부재와 따뜻한 어머니2. 김명시(金命時, 1907~1949) : 동아시아를 무대로 일제에 총을 겨눈 투사 조선 잔 다르크의 귀환과 경찰서에서의 자살 (?) 육군 방첩대(CIC)에 체포된 김명시 해방 조선으로 돌아오는 길 남녀 역할이 따로 없다─조선부녀총동맹 중앙집행위원 모스크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입학과 중퇴 트랜스내셔널 반제운동가 7년간 감옥살이 김명시의 기개, 재판정에서의 싸움 만기 출옥 후, 조선의용군을 찾아가다 어머니와 항일운동가 집안3. 조원숙(趙元淑, 1906~?) : 새 세대는 새 사람들의 것이오 가장 통쾌했던 일─교군 타고 도망 올 때 조선여자교육협회 순회연극무용단 현모양처주의 배격─단발하기 중앙여자청년동맹, 여성운동자의 단결 한양청년연맹과 국제청년기념일? 여성해방을 꿈꾸다 여성해방을 현재화한 근우회 잦은 검거에도 꿋꿋하게 고문 경관 고소 사건의 증인 출석 상해에서 돌아와서 해방, 새 세대는 새 사람들의 것 두 편의 글, 지도자론 굴곡진 역사 앞에서4. 강정희(姜貞熙, 1905~?) : 고국이 그리워서 찾아오다 조선에 온 아끄니아 청년단체 활동─강연 중앙여자청년동맹과 근우회 독서회 사건 경성지방법원에서의 모욕적 심문 여급도 직업 부인인가 해방과 번역가로 활동5. 이경희(李瓊姬, 1907~?) : 나는 여성운동에 취미를 가지고 있다 이경희와 권태휘가 만든 가정 1─ 주의에 공명하며 이경희와 권태휘가 만든 가정 2─ 투사로 만들렵니다 여성운동이 취미 근우회 경성지회 일꾼 여성해방이란6. 이계순(李桂順, 1910~?) : 부녀 대중의 완전한 해방 없이는 참된 민주주의 건설 없다 『자본론』을 보내주시오 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의 책 읽기 근우회 중앙집행위원 조선좌익노동조합전국평의회 경성지방법원에 1360원 청구 조선부녀총동맹 총무부장 부녀 대중의 완전한 해방 없이는 참된 민주주의 건설은 없다7. 이경선(李桂順, 1914~?) : 여성의 참가 없이 전 민족 해방의 완성은 어렵다 조선 여성에게 호소함 조선부녀총동맹 선전부 위원, 뛰어난 웅변가 제주도로 돌아오다 미래의 로자 룩셈부르크라 불리다 독서회 지도와 반제동맹 조선공산당재건동맹─혁명적 노동조합의 조직 구금 생활 2년 만에 서대문형무소를 나와서출처: yes24 No. 121 작성자 입학홍보처 조회수 319 등록일 2023.11.06 0 인류 본사 저자 : 이희수 저 출간일: 2022년 6월 27일 동/서양을 횡단하는 중간문명 의 대서사!잃어버린 문명의 뿌리, 오리엔트-중동의 역사를 되살리다오리엔트-중동 지역은 위대한 문명의 산실이자, 약 1만 2,000년간 인류의 진보를 주도해 온 역사적 중심축이다. 그러나 세계를 서양 과 동양 으로 갈라 그중에서도 서양의 역사 패턴을 중심으로 인류의 발자취를 추적한 기존의 보편적 역사관 은 정작 인류문명의 뿌리를 간직한 오리엔트-중동을 철저히 외면해왔다. 그 결과 우리는 오늘날 인간사회를 발아시킨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관해선 전연 무지한 채로. 불균형하고 단절되고 왜곡된 반쪽짜리 역사인식을 무분별하게 추종하고 재생산해왔다.《인류 본사》는 국내 최고 중동 전문가 이희수 교수가 오리엔트-중동 지역의 역사를 인류의 뿌리 역사, 즉 본사(本史) 로서 선언하며 1만 2,000년 전 초고대 아나톨리아 문명부터 히타이트 프리기아 등 고대 오리엔트 문명과 7세기 이후 이슬람 왕국들의 역사를 거쳐 근대 오스만 무굴 제국의 성쇠까지, 오리엔트-중동의 인류사적 궤적을 완성한 국내 최초의 역작이다. 인류사회의 시원을 개창한 동시에 중간문명 으로서 동/서양의 교류 발전에 심대한 영향을 끼친 오리엔트-중동 지역 15개 제국과 왕국의 역사를 새롭게 정리하여 인류사를 그 핵심과 뿌리에서부터 다시 썼다. 최초의 문명이 발아하고 성숙해온 인류역사의 중심 무대, 동양과 서양을 아우르는 중간문명 의 1만 2,000년 대서사가 펼쳐진다.저자: 이희수 (성공회대학교 인문융합자율학부 석좌교수/ 성공회대학교 이슬람연구소 소장)튀르키예(옛 터키) 이스탄불대학교에서 한국인 최초로 박사학위를 받은 문화인류학자이자 중동 역사와 이슬람 문화에 관한 국내 최고 전문가로, 40년 간 이슬람권 전역에서 현장 연구를 해왔다. 도시를 중심으로 뿌리를 내린 이슬람 문화를 연구하기 위해 이슬람 지역의 도시 곳곳을 다니며 탐구하고 기록했다. 이스탄불만 196번을 다녀왔다.지금은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와 이슬람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있으며, 서양 중심의 보편적 역사관을 넘어 인류문명의 뿌리인 오리엔트-중동 지역의 역사와 그 토양에서 발아한 이슬람 문명을 조망하고 연구하는 데 매진하고 있다.《인류 본사》, 《이희수의 이슬람》, 《세상을 바꾼 이슬람》, 《터키사 100》, 《터키 박물관 산책》, 《헤이트》(공저), 《한국어-터키어사전》(공저) 등 80여 권을 쓰고, 《중동의 역사》, 《금의 역사》, 《문명의 대화》 등 10여 권을 우리말로 옮겼다. 지은 책 중 《이슬람과 한국문화》는 아랍어, 터키어, 이란어로 번역 출간되어 한국과 이슬람 세계의 교류를 밝히는 저술로 평가 받았으며, 페르시아 왕자와 신라 공주의 사랑 이야기가 담긴 고대 페르시아 서사시 《쿠쉬나메》를 발굴해 우리말로 옮겨 국내에 했다.목차프롤로그: 문명의 요람, 아나톨리아에서 시작하는 인류 이야기1부 아나톨리아-바빌로니아-페르시아 1만 년의 역사1장 아나톨리아 문명: 인류역사의 태동 1 괴베클리 테페 2 차탈회위크2장 바빌로니아: 함무라비법의 나라 1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중간지대 문명의 복원 2 고바빌로니아 왕국 3 바빌로니아의 후계국가 4 바빌로니아의 문화3장 히타이트: 철기시대를 연 첨단기술 강국 1 히타이트의 역사와 거버넌스 2 카데시 전투 3 철기 생산과 히타이트 멸망의 미스터리4장 프리기아: 신화에서 역사로, 미다스 왕의 신비 1 프리기아의 역사와 문화5장 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 인류 최초의 대제국 1 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 제국의 역사 2 페르시아의 거버넌스 3 페르시아의 문화 4 페르시아 전쟁과 제국의 멸망6장 파르티아: 로마에 맞선 500년 대제국 1 알렉산드로스 왕의 정복과 파르티아의 수립 2 파르티아 제국의 성장과 멸망 3 파르티아 제국의 거버넌스와 문화7장 사산조 페르시아: 1,200년 대제국의 종착지 1 사산조 페르시아의 등장과 발전 2 사산 제국의 종교 3 사산조 페르시아의 문화와 대외관계 4 페르시아 제국의 멸망2부 인류 대번영을 이끈 이슬람 문명의 역사8장 압바스: 이슬람의 황금기 1 이슬람 제국 시대의 개막 2 압바스 제국의 등장과 번영 3 압바스조의 쇠퇴와 튀르크인의 성장9장 호라즘샤: 중앙아시아의 이슬람 왕국 1 13세기 중앙아시아 최강의 이슬람 왕국 호라즘샤 2 호라즘샤의 성장과 종말 10장 티무르: 중앙아시아의 르네상스 1 티무르 제국의 성립 2 중앙아시아의 르네상스11장 후우마이야와 나스르: 이베리아반도에 꽃 핀 이슬람 문화 1 후우마이야 왕조 2 나스르 왕조12장 사파비: 이란 시아파의 자존심 1 사파비 왕조의 성립 2 압바스 1세의 통치와 사파비의 번성 3 사파비 제국의 쇠퇴와 멸망13장 말리와 송가이: 아프리카의 르네상스 1 사하라 이남 서아프리카의 이슬람 왕국 2 아프리카 문화 3 아프리카의 이슬람화14장 오스만: 인류 최대의 대제국 1 오스만 제국의 성립과 발전 2 콘스탄티노플 함락과 비잔티움 제국의 멸망 3 오스만의 황금기 4 오스만 제국의 거버넌스와 문화 5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개혁운동15장 무굴: 타지마할을 낳은 제국 1 무굴 제국의 건국 2 무굴 제국의 번영과 쇠퇴 3 무굴 제국의 거버넌스와 경제 4 무굴 제국의 문화출처출판사 휴머니스트, yes24 No. 120 작성자 입학홍보처 조회수 423 등록일 2023.01.10 0 처음 113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다음 끝 담당부서 입학홍보처 TEL 02. 2610. 4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