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선 사진
김영선
직위(직급)
성공회대학교 시민평화대학원
실천여성학전공 교수
전화번호
02-2610-4222
이메일
youngsun@skhu.ac.kr
연구분야
여성운동, 여성학제도사, 구술생애사

세부내용

학력

미국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 사회학과 박사

 

경력

2024.11.-현재 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기획자문위원회 위원

2024년 제40대 한국여성학회 부회장

2023.1-현재 한국여성사학회 학술정보이사

2021.3-현재 성공회대 실천여성학전공 주임교수

2020.8-2024.8 인천여성가족재단 이사

2009.2.-2015.8.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2008.9.-2009.1.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전임연구원

 

논문

"영남 양동마을의 양반 가옥, 香壇과 여성의 시/공간 통제", 2007, <<여성과 역사>> 7, pp.1-48.

“Engendering the Modern-De/Sexual(ized) Body in Colonial Korea”, 2009, Asian Women 25(2), pp.71-98.

“Rethinking Historical-Comparative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Gender Structure of Colonial Modernity”, 2009,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 15(3), pp.7-33.

“Gendered Korean Colonial Modernity: "Housewifization" of Korean Colonial Women and the Reconfiguration of Domestic Work”, 2009,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3), pp.205-233.

열린, 윤리공동체를 꿈꾸는 성찰하는 '지성인'의 초상”, 2010, <동방학지>> 150집, p.355-427.

한국 여성학 제도화의 궤적과 과제”, 2010, <<현상과 인식>> 343, pp.323-350.

결혼가족 담론을 통해 본 한국 식민지근대성의 구성요소와 특징”, 2010, <<여성과 역사>> 13, pp.131-172.

북경 거주 한인 가족의 동아시아 이주궤적과 가족전략” 2011, <<역사문화연구>> 39, pp. 337-372.

서발턴 연구의 지식생산과 확산” 2011, <<시대와 철학>> 222, pp.35-74.

일상의 아지트에서 공공성을 함께 만들다, 2011, <<동방학지>> 159, pp.317-36.

마을에서 인문학하기”, 2012, <<시대와 철학>> 233, pp.119-148.

“1960~70년대 여성운동의 국제화와 한국여성단체협의회의 활동”, 2012, <<현상과 인식>> 364, pp.161-183.

“The Woman’ 를 통해 본 1960~70년대 한국여성담론의 국제적 발신”, 2013, <<역사문화연구>> 45, pp.163-189.

한국여성학 제도화의 전사기(1960~70년대) 지식생산의 동학: 장소사람프로젝트”, 2013, <<현상과 인식>> 372, pp.117-139.

마을인문학과 여성주의”, 2013, <<사회와 철학>> 26, pp.33-56.

남북한 여성교류의 다층적 궤적과 학술과제”, 2013, <<여성과 역사>> 19, pp.299-227.

“1960~70년대 북한의 재생산 정책과 젠더의 문화정치”, 2014, <<여성과 역사>> 21, pp.183-218.

“1970년대 한국여성학 학술운동의 계보와 장소성”, <<현상과 인식>> 391,2통합호, pp.113-138.

“1970년대 페미니즘 이론의 번역/실천과 여성학”, 2016, <<여성문학연구>> 37, pp.39-62.

“1980년대 여성운동의 새로운 여성 주체 기획과 주부운동론”, 2018, <<여성과 역사>> 28, pp.241-266.

여성노동운동가 김지선의 젠더경험과 생애사적 과제이야기된 생애사를 중심으로”, 2020 <<사회와역사>> 125, pp.281-330.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한국여성학의 도전과 새로운 실천” 2022, <<현상과인식>> 261, pp.77~94.

기억의 젠더정치와 한국전쟁” 2023, <<인천학연구>> 39, pp.43-77.
교차성의 관점에서 본 강화여성노인의 한국전쟁 경험과 그 기억”, 2025, <<여성과 역사>> 42, pp.48~82.

 

저서

<<사회인문학과의 대화>>(공저), 2013, 에코 리브르.

<<마을로 간 인문학: 도시마을, 배움의 공동체를 꿈꾸다>>(공저), 2014, 당대.

<<권력과 학술장: 1960~1980년대 초반>>(공저), 2014, 혜안.

<<한국인문학의 맥과 연세>>(공저), 2014, 혜안.

<<마을학포럼>>(공저), 2015, 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

<<여성의 미래를 펀딩하다>>(공저), 2020, 이프북스.

<<구술로 보는 한국 경제 성장의 역사>>(공저), 2020, 선인.

<<여성이 여성에게 임파워먼트를 말하다>>(공저), 2021, 이프북스.

<<인천여성생애구술사 I : 인천여성이 경험한 한국전쟁과 분단 인천여성가족재단>>(공저), 2022, 인천여성가족재단.

<<인천여성생애구술사 II : 인천지역의 공단과 여성의 공장노동인천여성가족재단>>(공저), 2023, 인천여성가족재단.

<<인천여성생애구술사 III : 부평 주한미군기지와 인천여성의 삶, 인천여성가족재단>>(공저), 2024, 인천여성가족재단.